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포츠 구단 마케터가 알아야 할 국내 스포츠 마케팅 사례

by str-sports 2025. 4. 7.

스포츠 관련 사진

 

스포츠 산업은 더 이상 경기력만으로 성공할 수 없습니다. 오늘날 스포츠 구단은 하나의 브랜드로서 팬을 끌어들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며, 해외 시장까지 확장하는 전략을 갖춰야 합니다. 한국의 스포츠 구단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케팅을 혁신하며 모범적인 K사례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스포츠 구단 마케터가 반드시 참고해야 할 세 가지 핵심 전략, 팬관리, 수익화, 글로벌화를 중심으로 K스포츠 마케팅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팬관리 전략의 디지털 전환

현대 스포츠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은 '팬덤'입니다. 구단의 성패는 얼마나 충성도 높은 팬을 보유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K-스포츠 구단들은 팬 관리를 단순한 오프라인 이벤트에서 디지털 중심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FC서울은 팬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 맞춤형 메시지를 발송하고, 팬의 응원 스타일에 따라 굿즈 추천을 차별화하는 등 정교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도입하였습니다. 특히 카카오톡 채널, 인스타그램 스토리, 유튜브 커뮤니티 탭 등을 통해 팬과의 일상적인 소통을 강화하며 정서적 연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팬이 단순 관람객이 아닌 ‘참여자’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또한, KBO 리그에서는 경기 중 팬의 SNS 댓글을 실시간 중계 화면에 노출하거나, 팬이 직접 뽑은 MVP를 시상하는 ‘팬 투표형 이벤트’를 활성화해 팬의 개입도를 높였습니다. 이는 팬들의 충성도를 높이는 동시에 SNS상 자발적인 홍보 효과도 창출합니다. 앞으로의 팬관리 전략은 데이터 기반 개인화와 팬 참여형 콘텐츠가 핵심이 될 것입니다.

수익화 구조의 혁신 사례

수익화는 구단 운영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존에는 입장권 수익이나 중계권료에 의존하던 구조에서, 이제는 IP(지적재산권)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굿즈 사업입니다. 단순한 유니폼 판매를 넘어 한정판 협업 굿즈, 지역 상점과 연계한 콜라보 상품, 시즌 한정 캐릭터 브랜드까지 확장하며 수익 구조를 다양화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스토어를 다국어로 운영하고, 해외 직배송 시스템을 도입해 외국 팬의 구매도 가능하게 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K-리그 일부 구단은 NFT(대체불가능토큰) 기반의 디지털 티켓과 선수 카드 콘텐츠를 출시하여 디지털 자산화 수익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팬들은 경기장에 오지 않아도 NFT 소유권을 통해 구단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이를 거래하거나 수집하는 재미를 느낍니다. 이는 단순한 상품 판매가 아닌, 팬의 ‘경험’을 수익화하는 방식입니다.

광주 FC는 지역 소상공인과 협업하여 경기 티켓을 구매하면 지역 상품 할인권을 제공하는 ‘지역 연동형 티켓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구단과 지역사회, 그리고 팬이 모두 윈윈하는 구조로, 새로운 수익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글로벌화 전략과 한류 접목

K-스포츠 구단의 글로벌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단순히 해외 투어를 떠나는 것을 넘어서, 콘텐츠 자체를 글로벌 시장에 최적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울산 현대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영어, 일본어, 스페인어 자막을 자동 제공하고 있으며, SNS 운영에 외국어 전담팀을 두어 실시간 글로벌 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K-팝 아티스트와 협업하여 ‘K컬처 X 스포츠’ 콘텐츠를 제작하는 전략은 해외 팬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대구 FC는 베트남 출신 선수 영입과 동시에 베트남 현지 스포츠 채널과의 콘텐츠 제휴를 통해 현지 팬을 확보했으며, 구단 공식 SNS에 베트남어 콘텐츠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선수를 중심으로 한 진출 전략은 가장 직관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글로벌 확장 방식입니다.

한편, 한화 이글스는 한류 드라마 속 장소로 구단 시설을 개방하여 촬영지로 활용하도록 하고, 해당 콘텐츠에 팀의 로고와 유니폼을 노출시켜 스포츠와 문화의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며 해외 시청자에게 구단을 알리는 효과를 유도합니다.

결론

K-스포츠의 다양한 마케팅 사례는 팬의 충성도 강화, 수익 다각화, 글로벌 확장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스포츠 구단 마케터는 이제 단순한 이벤트 기획자가 아닌, 전략적 콘텐츠 기획자이자 브랜드 운영자,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까지 수행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K사례를 참고해 자사 구단의 팬 경험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 앞으로의 핵심입니다. 지금이야말로, 실질적인 K-마케팅을 통해 구단 브랜드 가치를 세계로 확장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